기획
-
성공하는 서비스 만들기디자인/UX 디자인 2020. 8. 22. 22:51
# 성공하는 서비스를 위해 필요한 것은 충성고객 파격적인 마케팅으로 신규고객을 아무리 유입해온들 충성고객을 만들지 못하면 다 빠져나감. @ 충성고객지수 파악방법 - 재방문률 점검(1주일, 또는 한달 내에 몇명 들어왔는지) -> 구글 애널리틱스 이용 추천 (SPA라면 https://bbon.kr/google-analytics-on-single-page-application/ ) 참고 # 비전과 목표를 분명히 @ 비전 ex01) 회사 막내들의 점심 예약, 회식 예약, 커피 심부름 불편함을 줄이겠다, ex02) 넷플릭스 쉐어 사용자들의 파티 모집 불편함과 불안감을 줄이겠다. @ 목표 - 너무 낮거나 높은 목표는 안됨. ex01) 충성고객 n명을 달성한다. ex02) 넷플릭스 쉐어파티 n개를 달성한다.
-
04. 어피니티 다이어그램 만들기디자인/UX 디자인 2020. 6. 3. 14:47
# What? 이게 뭔데 - 방대한 데이터에서 의미 있는 결론을 이끌어 내는데 효과적인 방법중의 하나로 수집한 다양한 데이터를 연관되어 있는 데이터끼리 묶어 점진적으로 구조화해 가는 기법 (인터뷰를 통한 얻은 내용을 비슷한 성격끼리 묶기) # Why? 이걸 왜 해야하는데 - 쌓인 데이터들을 종합하고 분류해서 거기에 대한 해결책을 정의하기 위해 필요함 # How? 그래서 어떻게 하는데 1. 인터뷰 내용 중 의미있는 데이터들을 포스트잇에 정리 2. 공통적으로 나타는 패턴이나, 비슷한 사항들은 묶어서 분류 3. 분류해놓은 각각의 파트에 각 파트를 대표하는 헤더 포스트잇 작성 4. 각 헤더 포스트잇간의 연관성을 고려해 마스터 헤더 포스트잇을 작성(마스터 헤더 포스트잇이 핵심 요구사항임) 5. 이 과정을 반복해서..
-
03. 인터뷰디자인/UX 디자인 2020. 6. 3. 12:15
# What? 이게 뭔데 - 실제 이 서비스를 필요로 할 사람들을 인터뷰 # Why? 이걸 왜 해 쓸 사람들을 제대로 이해해야 실제 쓰일 서비스를 만들 수 있음 쓸 사람들을 인터뷰하다보면 놓쳤던 부분, 새로운 아이디어, 구체적인 해결책을 짜내는데 도움이 됨. # How? 어떻게 하는데 1. 처음엔 정해진 질문지 없이 소수의 서비스 대상자들을 모아놓고 자유로운 분위기로 토론하면서 정보 얻기 2. 심층 인터뷰 설계 1) 인터뷰 대상 정하기(다양한 의견을 들어보려면 다양한 사람, 다른 입장을 가진 사람을 인터뷰해보는게 좋음) 2) 인터뷰 목적 정하기(내가 이 인터뷰로 얻어내려는게 뭔지) 마케터의 업무 프로세스 알아내기 마케팅 보고서를 받을 사람의 특징 알아내기 3) 실제 인터뷰 진행하가며 인터뷰하기 * 메인 ..
-
02. 경쟁사 분석디자인/UX 디자인 2020. 6. 3. 11:26
# What? 경쟁사? - 내가 만드려는 서비스와 비슷한 서비스를 운영하고 있는 회사 # Why? 이걸 왜 조사해? 현실적인 틀을 잡는데 도움이 됨(다른 회사가 했던 삽질을 우리는 안할 수 있음) 장단점을 비교해 효율적으로 서비스 제작 가능 우리는 어떤 포인트로 경쟁력을 확보할지 설계하는데 도움이 됨 # How? 어떻게 조사하는데 비교 내용 서든어택 오버워치 발로란트 사용자의 금전 부담 무료 유료 무료 게임 난이도 낮음 캐릭터별로 다름 중간 장점/경쟁우위 - 저사양 컴퓨터도 가능 - 오랜 기간 구축해온 인프라 - 다양한 컨텐츠 - 주기적인 업데이트 - 화려한 그래픽 - 다양한 캐릭터 - 직관적인 UI/UX - 다양한 컨텐츠 - 롤 인프라 이용 - 기존 게임 카스 이용자 대거 유입 - 캐릭터마다 스킬을 달..
-
01. 비즈니스 목표 이해하기디자인/UX 디자인 2020. 6. 3. 10:59
# What? 비즈니스 목표가 뭔데 - 이 서비스를 만드는 이유 # Why? 그걸 왜 정해야하는데 - 목표가 명확해야 중간에 산으로 가지 않음. # How? 그걸 어떻게 정하는데 1. 어떤 문제를 해결하려는건가요 매번 이벤트 진행 정보를 취합해서 보고서를 작성해야하는데, 진행 이벤트도 많고 매월 작성해야해서 번거로움. 2. 주요 사용자는 누구인지 마케터 3. 사용자들은 왜 불편함을 느끼고 어떤걸 필요로 하나요? 매월 수많은 이벤트 정보를 수집해야해서 귀찮다 똑같은 형식의 보고서를 매월 작성해야해서 이걸 내가 왜 하나 싶을정도로 의미를 못느낀다 4. 사용자들은 현재 문제를 어떤식으로 해결하고 있나요? 이벤트마다 직접 들어가서 수집하고, 그에 맞게 보고서를 작성한다. 5. 문제를 해결하는데 가장 큰 도전은 ..